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붕괴 ===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의 위매니의 부름 및 거부반응과 비슷하게 부정적인 효과를 준다. 차이점이라면 한 구역에서만 한정되는 위매니의 부름과 달리, 붕괴 패러다임은 소멸하지 않는 한 탐험 내내 유지되며, 오퍼레이터 하나하나에만 영향을 주는 거부반응과 달리, 붕괴 패러다임은 탐험 진행 자체에 영향을 준다. 새로운 구역 진입 시, 완벽하지 않은 작전 수행 시 또는 기타 이유로 '''붕괴 수치'''가 누적되며, 일정량 누적되면 '''붕괴 패러다임'''이 발생한다. 발생 시에는 새로운 붕괴 패러다임이 적용되거나, 이미 존재하는 붕괴 패러다임이 심화될 수 있다. * 새 구역 진입 시 기본적으로 3 증가한다. * 단, 자연에 도전 15에서는 이 수치가 점차 1씩 증가한다.[* 제2구역 진입 시 3, 제3구역 진입 시 4, 제4구역 진입 시 5, 제5구역 진입 시 6, 제6구역 진입 시 7 증가하게 된다.] * 예외적으로 제1구역, 제7구역, 숨겨진 비경은 증가하지 않는다. * 완벽하지 않은 작전 수행 시 기본적으로 1 증가한다. * 단, 자연에 도전 3에서부터는 대신 2 증가한다. * 암호판 선언 시 기본적으로 1 감소한다. * 일부 암호판은 이 수치를 변화시키도 한다. * 그 외에도 붕괴 수치를 증감시키는 요소가 다양하게 있다. 붕괴 패러다임은 한 탐험에서 최대 4가지가 발동할 수 있으며, 붕괴 레벨당 무작위의 붕괴 패러다임 하나가 추가되거나 심화된다. 즉, 최고 레벨인 8레벨일 때는 붕괴 패러다임 4가지 모두가 심화된 상태가 된다. 일부 소장품이나 사건은 붕괴 수치를 낮추며, 이로 인해 붕괴 레벨이 하락하게 되면 붕괴 패러다임은 무작위로 약화되거나 소멸된다. 새로운 구역 진입 시 붕괴 수치가 증가하는 건 필연적이므로 제외한다 치면, 매 전투마다 최대한 완막을 해서 완벽한 작전을 수행해야 붕괴 진행을 최소한으로 늦출 수 있다. 이렇게 완막이 중요하다는 점은 이전 테마와 비슷하다. ||<|2><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2d2f34><bgcolor=#ccc,#1c1c1c> '''붕괴 레벨''' ||<-2><width=90%><bgcolor=#ccc,#1c1c1c> '''각 레벨 도달에 필요한 붕괴 수치''' || ||<width=45%><bgcolor=#eee,#3f3f3f> '''자연에 도전 0''' ||<width=45%><bgcolor=#eee,#3f3f3f> '''자연에 도전 1+''' || ||<colbgcolor=#eee,#3f3f3f> '''0''' ||<-2> 0 (+4) || || '''1''' ||<-2> 4 (+4) || || '''2''' ||<-2> 8 (+4) || || '''3''' || 12 (+4) || 12 '''{{{#9266b2 (+3)}}}''' || || '''4''' || 16 (+4) || '''{{{#9266b2 15 (+3)}}}''' || || '''5''' || 20 (+4) || '''{{{#9266b2 18 (+3)}}}''' || || '''6''' || 24 (+4) || '''{{{#9266b2 21 (+2)}}}''' || || '''7''' || 28 (+4) || '''{{{#9266b2 23 (+2)}}}''' || || '''8''' || 32+ || '''{{{#9266b2 25+}}}'''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ccc,#1c1c1c> '''아이콘''' || '''이름 및 효과''' || ||<|2><colbgcolor=#9266b2> [[파일:수적 붕괴 / 수적 붕괴 심화.png]] ||'''{{{+1 수적 붕괴}}}''' ---- 비전투 노드에서 희망, 오리지늄각뿔 소모 또는 붕괴 수치 증가 시, 25% 확률로 1 증가[br]''{{{#gray 숫자 간의 경계가 흐려져 인간은 자연수를 식별하는 능력을 상실했다.}}}'' || ||'''{{{+1 수적 붕괴 심화}}}''' ---- 비전투 노드에서 희망, 오리지늄각뿔 소모 또는 붕괴 수치 증가 시, 50% 확률로 2 증가[br]''{{{#gray 수의 개념 자체가 사라져 인간은 숫자를 사용하는 능력마저 완전히 상실했다.}}}'' || ||<|2> [[파일:실질적 붕괴 / 확산적 붕괴.png]] ||'''{{{+1 실질적 붕괴}}}''' ---- 전장에 [국가] 영역 4개 생성, [국가] 위 아군 유닛의 공격 속도 -50[br]''{{{#gray 일명 '국가'라는 현상이 점차 이 땅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 ||'''{{{+1 확산적 붕괴}}}''' ---- 전장에 [국가] 영역 8개 생성, [국가] 위 아군 유닛의 공격 속도 -75[br]''{{{#gray '국가' 현상이 대기 순환에 필적할 속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 ||<|2> [[파일:비선형 이동 / 비선형 행동.png]] ||'''{{{+1 비선형 이동}}}''' ---- 모든 [붕괴체]의 HP +15%, 이동 속도 +15%[br]''{{{#gray 두 점 사이, 가장 짧은 건 직선이 아니다.}}}'' || ||'''{{{+1 비선형 행동}}}''' ---- 모든 [붕괴체]의 HP +20%, 이동 속도 +20%, 공격 속도 +20[br]''{{{#gray 두 점 사이, 가장 빠른 건 [[사이클로이드|최단시간 곡선]]이 아니다.}}}'' || ||<|2> [[파일:정서의 실체화 / 공포의 실체화.png]] ||'''{{{+1 정서의 실체화}}}''' ---- 적이 등장 시 5% 확률로 HP +100%[br]''{{{#gray 마음속 감정 기복이 적의 자양분과 흥분제가 될 때……}}}'' || ||'''{{{+1 공포의 실체화}}}''' ---- 적이 등장 시 10% 확률로 HP +100%[br]''{{{#gray 마음속 깊은 곳의 부정적인 감정이 실재하는 괴물이 될 때……}}}'' || ||<|2> [[파일:범사회적 역설 / 범문명적 역설.png]] ||'''{{{+1 범사회적 역설}}}''' ---- 교활한 상인의 상품 가격 +25%[br]''{{{#gray 사회에 대한 정의가 바뀌면서 사회적 산물의 가치도 달라졌다.}}}'' || ||'''{{{+1 범문명적 역설}}}''' ---- 교활한 상인의 상품 가격 +50%, 희귀한 상품[* 가격이 오리지늄각뿔 16 이상인 상품] 경우 +100%[br]''{{{#gray 문명의 본질이 왜곡되어 모든 산물의 가치가 상식을 초월했다.}}}'' || ||<|2> [[파일:기압 이상 / 기압 무질서.png]] ||'''{{{+1 기압 이상}}}''' ---- 배치 코스트 자연 회복 속도 -20%[br]''{{{#gray 대기압이 한 구간에서 멋대로 변한 바람에, 적응하지 못한 비전투 인원의 행동이 느려졌다.}}}'' || ||'''{{{+1 기압 무질서}}}''' ---- 배치 코스트 자연 회복 속도 -40%[br]''{{{#gray 대기압이 완전히 불규칙적으로 변한 바람에, 몸이 적응하지 못해 모든 일이 불가피하게 지체되었다.}}}'' || ||<|2> [[파일:촉발성 손상 / 촉발성 위태.png]] ||'''{{{+1 촉발성 손상}}}''' ---- 모든 아군 유닛이 배치 즉시 HP -30% (유닛당 퇴각 전 1회만 발동)[br]''{{{#gray 생명은 행동의 전제이자 행동의 대가이다.}}}'' || ||'''{{{+1 촉발성 위태}}}''' ---- 모든 아군 유닛이 배치 즉시 HP -60% (유닛당 퇴각 전 1회만 발동)[br]''{{{#gray 생명은 행동의 전제이자 죽음의 전제이기도 하다.}}}'' || ||<|2> [[파일:일치성 소모 / 일치성 손실.png]] ||'''{{{+1 일치성 소모}}}''' ---- 간섭 방지 지수 감소 시 최대 목표 HP -1[br]''{{{#gray 장비가 소모되면 그 사용자도 같은 형태의 피해를 받는다.}}}'' || ||'''{{{+1 일치성 손실}}}''' ---- 간섭 방지 지수 감소 시 최대 목표 HP -2[br]''{{{#gray 장비는 사용자의 일부로, 장비의 소모는 사용자에 대한 피해와도 같다.}}}'' || ||<|2> [[파일:선택적 무시 / 안하무인.png]] ||'''{{{+1 선택적 무시}}}''' ---- 목표 HP 및 적의 HP 확인 불가[br]''{{{#gray 대뇌가 너무 '자연스럽게' 일부 정보를 건너뛰었고, 당신은 편안함을 느꼈다.}}}'' || ||'''{{{+1 안하무인}}}''' ---- 목표 HP 및 적의 HP 확인 불가, 모든 적의 HP +10%[br]''{{{#gray 눈에 안 보이면 존재하지 않고, 존재하지 않은 것은 신경 쓸 필요 없다. 모르는 게 약이라고 했던가……}}}'' || ||<|2> [[파일:이미지 에러 / 블랙아웃.png]] ||'''{{{+1 이미지 에러}}}''' ---- 배치된 아군 유닛의 모습 확인 불가[br]''{{{#gray PRTS의 실행 로그에 시스템 오류가 기록되지 않았지만, 어찌 된 영문인지 오퍼레이터들은 이미지가 삭제된 것처럼 보인다.}}}'' || ||'''{{{+1 블랙아웃}}}''' ---- 배치된 아군 유닛의 모습 확인 불가, 오퍼레이터의 배치 코스트 +1[br]''{{{#gray 이러한 상황이 당신의 업무에 이미 부담을 주고 있지만, PRTS는 자신이 정상이라고 주장하는데, 아무래도 정상은 아닌 것 같다.}}}'' || '''수적 붕괴 / 수적 붕괴 심화'''는 자원 및 붕괴 수치 관리를 방해한다. 비전투 노드에 있을 경우 한정으로 희망이나 오리지늄각뿔을 소모할 때 25%~50% 확률로 1~2만큼 더 소모하게 되며, 붕괴 수치를 획득할 때도 마찬가지로 1~2만큼 더 획득하게 된다. 다른 붕괴를 더 빠르게 부르는 스노우볼링형 붕괴지만, 비전투 노드 한정이기에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는 의외로 많지 않다. 희망을 소모할 때는 거슬릴 수 있으나, 오리지늄각뿔을 소모할 때는 아래의 범사회적 역설 / 범문명적 역설보다 낭비가 훨씬 적으며, 붕괴 수치가 증가할 때는 비전투 노드일 경우는 대개 우연한 만남에서 붕괴 수치가 증가하는 선택지를 선택하는 경우인데, 대놓고 '붕괴 수치 증가'라고 쓰여 있으므로 그걸 고르지 않으면 된다. 그리 치명적이진 않은 붕괴 패러다임이다. '''실질적 붕괴 / 확산적 붕괴'''는 맵의 무작위 배치 가능 타일 몇 개에 검은색의 '''국가''' 장판을 추가하며, 국가 위에 배치된 아군은 공격 속도가 감소한다. 말 그대로 무작위라서 운을 많이 타는 붕괴 패러다임인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치에 깔렸다면 없는 것이나 다름없고, 중요한 위치에 깔렸다면 국가 때문에 그 판이 터질 수도 있다. 특히 크기가 작은 맵이라면 더욱 위험해진다. 검은색이라 일부 맵에서는 잘 안 보일 수도 있으니 주의. '''비선형 이동 / 비선형 행동'''은 모든 '''붕괴체'''의 체력, 이동 속도, (비선형 행동 한정) 공격 속도를 증가시킨다. 단순하면서도 굉장히 치명적인 붕괴 패러다임으로, 특히 붕괴체들은 기본 이동 속도가 빠른 편이라 이동 속도 증가가 많이 부담된다. '''[[명일방주/적/2023년#9.4|목열의 전사]]'''가 빛의 속도로 달려와서 진형을 박살내는가 하면, 보스인 '''[[명일방주/적/2023년#9.10|'목열' 에이크티르니르]]'''나 '''[[명일방주/적/2023년#9.11|끝없는 울림의 크레이즐리선]]'''[* 그나마 크레이즐리선은 직접 이동하지 않는 형태의 보스라 공격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는 비선형 이동의 경우 사실상 체력 증가 효과만 받는다. 하지만 그 특성상 체력 증가만으로도 치명적이고, 비선형 행동의 경우 공격 속도까지 증가해서 아군을 싹 쓸어버릴 위험이 높다.]도 붕괴체라 이 효과를 받고 엄청나게 강력해진다. '''정서의 실체화 / 공포의 실체화'''는 전투 중 플레이어의 운을 시험한다. 적이 전장에 등장할 때 5%~10% 확률로 그 적의 체력을 2배로 만든다. 단순히 계산하면 평균적인 적 체력 증가량은 고작 +5%~+10%지만, 재수 없게 정예 또는 '''리더''' 적에게 걸릴 경우 골치 아파진다. 확률 자체는 아주 낮지만 잠재적인 위험은 정말 크기에 간과할 수 없다. [[https://gall.dcinside.com/m/mibj/4951617|적이 아니라 중립 유닛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범사회적 역설 / 범문명적 역설'''은 교활한 상인 이용을 방해한다. 교활한 상인의 상품 가격을 증가시켜 플레이어의 성장을 저해시킨다. 지난 테마보다 교활한 상인의 이용 빈도 및 중요성이 훨씬 증가했기에 꽤 거슬리는 효과이다. 다만 범사회적 역설까지는 증가량이 크지 않고, 교활한 상인 말고도 긴급 작전, 득과 실, 숨겨진 비경 등 다른 성장 요소도 있으며, 전투 자체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기에 다른 붕괴 패러다임에 비하면 만만한 편이다. 5~6층에서 굳이 상점을 이용하겠다면 캔낫에게 싸움을 걸어서 직접 털어가는 방법도 있긴 하다. '''기압 이상 / 기압 무질서'''는 뱅가드 오퍼레이터 편성을 강제한다. [[위기 협약]]에서 자주 볼 수 있었던 효과인 배치 코스트의 자연 회복 속도를 20% ~ 40% 감소시키는 붕괴 패러다임이다. 하지만 뱅가드 오퍼레이터를 자유롭게 편성할 수 있는 위기 협약과는 달리, 통합 전략 특성상 뱅가드 오퍼레이터의 편성 가능 여부 자체가 불확실해 일반적으로는 '''가장 까다로운 붕괴 패러다임'''으로 취급된다. '''촉발성 손상 / 촉발성 위태'''는 아군이 배치되었을 때 체력을 일정 비율 깎는다. 그나마 한 번만 깎이고 끝나기 때문에 힐러가 있다면 큰 문제는 되지 않지만, 힐러가 없거나 있더라도 힐을 받기도 전에 터져버리는 경우 상당한 체감이 된다. 특히 쾌속부활 오퍼레이터를 활용하는 경우 감소한 체력으로 인해 던지자마자 바로 퇴각할 수도 있어서 꽤 까다롭다. 만일 아군 배치 시 실드를 생성하는 소장품이 있다면[* 해당 효과를 주는 소장품으로는 생존의 나무 갑옷, 린수 비늘 방패가 있다.] 날먹 수준의 붕괴 패러다임이 되는데, 배치 시 실드를 얻는 효과가 체력을 깎는 효과보다 우선 적용되어 '''체력을 깎는 효과를 실드가 1회 막아준다.''' '''일치성 소모 / 일치성 손실'''은 간섭 방지 지수가 감소할 때마다 최대 목표 HP가 같이 감소해서 간섭 방지 지수를 함부로 사용하기 어렵게 만든다.[* 최소 1의 목표 HP는 남는다.] 과학주의 분대 한정으로 정말 악랄한 붕괴 패러다임인데, 남아도는 간섭 방지 지수를 수직 방향 이동이나 울창한 숲길 진입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플레이에 상당한 부담이 된다. 다만 그 외의 분대는 간섭 방지 지수를 아껴 써야 하기 때문에 그리 큰 문제는 되지 않는 편이다. '''선택적 무시 / 안하무인'''은 최초에는 겨울밤 전시관에서 그 존재조차 알 수 없으며 다른 붕괴 패러다임에 비해 발동될 확률이 0.015%로 훨씬 더 낮다. 목표 HP의 아이콘이 뒤틀리고, 수치는 ???로 표시되며, 적이 피해를 받아도 HP 바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 정도 화력이면 이 적이 죽겠다'라고 오직 감으로만 딜을 계산해야 하며, 이는 위의 정서의 실체화 / 공포의 실체화와 중복되면 특히 더욱 까다로워진다. 가장 위험한 경우는 '''[[명일방주/적/2023년#9.10|'목열' 에이크티르니르]]'''나 '''[[명일방주/적/2023년#9.12-1|카란두 카간, 대지의 채찍]]''' / '''[[명일방주/적/2023년#9.12-2|루갈샤르거스, 역법의 왕]]'''을 상대할 경우인데, 체력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할 수가 없으므로 에이크티르니르에서는 [[카니팔라트]]를 이용한 스톨링 전략이 매우 어려워지고, 두 보스를 동시에 처치해야 하는 대지의 재앙, 카란두 카간 / 역법의 왕, 루갈샤르거스는 보스 처치 타이밍을 잡기 어려워진다. '''이미지 에러 / 블랙아웃'''은 최초에는 겨울밤 전시관에서 그 존재조차 알 수 없으며 다른 붕괴 패러다임에 비해 발동될 확률이 0.015%로 훨씬 더 낮다. [[https://gall.dcinside.com/m/mibj/4990503|모든 아군 유닛이 까맣게 변하여 실루엣으로만 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실루엣만으로도 대놓고 누가 누군지 구별이 잘 되기에 별 의미가 없는 허술한 페널티. 블랙아웃의 추가 페널티도 배치 코스트가 고작 1 늘어나는 것이 끝이다 보니 만만한 붕괴 패러다임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